(1) 정치권력 : 개인이나 집단의 이해관계의 대립을 조정하면서 공동체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국가의 힘
(2) 정치 권력의 정당성의 의미 : 정치적 결정을 시민이 합당한 것으로 수용하는 정도
(3) 정치 권력의 정당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이유 : 국가 공동체의 안정과 발전 기대 가능
(4) 정치 권력의 정당성 조건
① 정치 권력 획득과 행사 과정에서 국민의 지지와 동의를 얻음
② 권력 행사 방식과 목표가 윤리적으로 정당함
③ 정책 결정이 대다수 시민의 이익이나 공익을 침해하지 않고 증진시킴
④ 정치 권력이 공동 사회의 안전과 질서를 위해 행사됨
(5) 정치 권력의 정당성의 근거
① 왕권 신수설1 : 군주의 권한은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이므로 신의 뜻에 의해 정당성이 부여됨
② 국민 주권론2 : 정치 권력이 국민의 동의와 지지를 얻어야 정당성이 인정됨
(6) 민주 국가에서의 정치 권력의 합법성
① 형식적 합법성 : 법에 명시된 바에 충실한 정치 권력
② 실질적 합법성 : 법적 근거를 가지면서 법의 내용면에서 평등과 정의를 실현함으로써 국민의 동의와 지지가 수반된 정치 권력
(7) 민주 국가에서 정당성 확보를 위한 노력
① 정부 : 정당한 방법으로 정권을 획득하고, 정치 과정을 투명하게 시민에게 알리며, 시민 의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함
② 시민 : 정치적 무관심을 버리고 정치 권력을 감시 통제하며, 요구를 정부에 전달함
(8) 정당성을 상실한 정치 권력 : 시민의 저항권3 행사의 근거가 됨
① 국민은 기본권을 침해하여 정당성을 상실한 정치 권력에 시민 불복종 운동과 실력 행사를 통해 저항할 수 있으며, 혁명을 통해 정권을 교체할 수 있음
② 저항권 행사의 요건 : 불법적인 국가 권력의 행사로 국민의 기본권이 침해되었다는 사실이 명백하고,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나 수단이 없는 경우에 행사되어야 함
★★★★ 지배4의 정당성(Max Weber의 이론)
구분 | 주요 내용 | |
전통적 지배 | 전통적 질서의 권위에 따라 정당성을 인정받는 가부장적 지배 형태 → 세습적 지배 | |
카리스마5적 지배 | 초인적이며 신성한 능력에 근거하여 권력을 정당화시키는 지배 형태 → 권위주의적 지배 | |
합리적 지배 | 체계적인 법 규범에서 정당성의 근거를 찾는 지배 형태 → 민주적 지배 |
'국제통상학 >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권의 의미와 성격 (0) | 2013.12.10 |
---|---|
루소의 국가 발생 이론 (0) | 2013.12.07 |
홉스이 국가 발생 이론을 살펴 보자. (0) | 2013.12.07 |
2.정치의 의미와 역할 (0) | 2013.12.07 |
1.근대국가와 현대국가 (0) | 2013.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