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일본어 문법

일본어동사의활용

비리숑 2009. 11. 3. 12:09

일본어동사의활용(연체형 연용형 미연형 종지형 가정형 명령형)

favorite14 2004.10.04 21:27

동사의 형태에 대한 질문이군요.
연용형은 아시니까 제외하고, 미연형 부터 쓰겠습니다.

괜히 한잣말로 써가지고, 폼만 잘 잡는군요(사적인 감정).

☆미연형..

'부정'/'추측,의지,권유'등을 나타낼 때 쓰이는 학교문법에서의 형태 이름이죠.

1) 부정(ない) : ∼지 않다.
'주어가 어쩌지 않다.'
'주어가 안 어쩐다.'

① 5단동사 : 어미 [ウ:u] → [ア:a] + ない
예) 行(い)く(가다) → 行(い)かない(가지 않다)

어미 「∼う」로 끝나는 5단동사의 부정은 「∼あ+ない」가 아니고,
「∼わ+ない」입니다.
예)會(あ)う(만나다)→會(あ)わない(만나지 않다)

② 상. 하1단동사 : 어미 「る」를 없애고 「ない」를 붙여줍니다.
예) 見(み)る(보다) → 見(み)ない(보지 않다)
  寢(ね)る(자다) → 寢(ね)ない(자지 않다)

③ カ변격동사. サ변격동사
예) 來(く)る(오다) → 來(こ)ない(오지 않다)
  する(하다) → しない(하지 않다)

2) 추측. 의지. 권유(う, よう) : ∼(하)겠지. ∼(하)겠다. ∼(하)자
'주어가 어쩌겠지'
'주어가 어쩌겠다'
'주어야, 어쩌자'

① 5단동사 : 어미 [ウ:u]단을 [オ:o]단으로 바꾸고 「う」를 붙여줍니다.
예) 行(い)く(가다) → 行(い)こう(가겠지, 가겠다, 가자)

② 상. 하1단동사 : 어미를 없애고 よう를 붙여줍니다.
예) 見(み)る(보다) → 見(み)よう(보겠지, 보겠지, 보자)
寢(ね)る(자다) → 寢(ね)よう(자겠지, 자겠다, 자자)

③ カ변격. サ변격동사
예) 來(く)る(오다) → 來(こ)よう(오겠지, 오겠다, 오자)
する(하다) → しよう(하겠지, 하겠다, 하자)


☆종지형...

그저 문장을 마칠 때 쓰며, 생김새는 기본형과 같습니다.
즉, 주어의 행동을 나타내는 동사의 기본적인 쓰임입니다.
'주어가 어쩐다.'

☆연체형...

체언(명사)을 수식하며, 기본형과 같습니다.
즉, '뭘 어쩌는 주어'가 되겠지요..

☆가정형

「∼ば」에 이어지는 활용형 이름대로 가정을 나타내는 형태입니다.
뜻은 불 보듯 뻔한 「∼(하)면」입니다.
즉, '주어가 어쩌면 이러쿵 저러쿵'

① 5단동사 : 어미「ウ:u」단을 「エ:e」단으로 바꾸고, 「ば」를 붙인다.
예) 行(い)く→行(い)けぱ(가면)
  歸(かえ)る→歸(かえ)れぱ(돌아오면)

② 상.하1단동사 : 어미「る」를 없애고,「れば」를 붙인다.
예) 見(み)る→見(み)れぱ(보면)
  寢(ね)る→寢(ね)れぱ(자면)

③ カ변격. サ변격동사
예) 來(く)る→來(く)れぱ(오면)
  する→すれぱ(하면)


☆명령형

명령으로 문장을 마치는 형태로, 의미는 뻔하게 「∼(하)라」입니다.
즉, '(주어야,) 어째라!'

① 5단동사 : 어미「ウ:u」단을 「エ:e」단으로 바꿔줍니다.
예) 行(い)く→行(い)け(가)
  歸(かえ)る→歸(かえ)れ(돌아와)

② 상.하1단동사 : 어미「る」를 없애고,「ろ」나「よ」를 붙여줍니다.
예) 見(み)る→見(み)ろ나 見(み)よ(봐)

③ カ변격. サ변격동사
예) 來(く)る→來(こ)い(와)
  する→しろ나 せよ(해)

'カ변격. サ변격동사', 얘들은 수가 적어서 신경 안 쓰이죠?
'상.하1단동사'들은 다 'る'가 수난을..
'5단동사'들의 어미는 진짜 잘도 변해댑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인~우와~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