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동사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일본어 동사 1> 일본어 동사의 특징 일본어의 모든 동사는 어미가 [u]단으로 끝난다. かく(쓰다) のむ(마시다) みる(보다) まつ(기다리다) 2> 일본어 동사의 종류 ① 5단 활용동사 ② 上一단 동사 ③ 下一단 동사 ④ か행 변격동사 ⑤ さ행 변격동사 10:23

1) 5단 동사 ?어미가 [る] 로 끝나지 않는 동사 あう(만나다) よむ(읽다) かく(쓰다) しぬ(죽다) まつ(기다리다) ?어미가 [る]로 끝나더라도 어미 바로 앞의 어간이 [i]단이나 [e]단이 아닌 것. 즉 어미 바로 앞의 어간이 [a]단, [u]단, [o]단인 단어. ある(있다) うる(팔다) のぼる(오르다) 2) 上一단 동사 어미가 [る]로 끝나는 동사로 ,어미 바로 앞의 어간이 [i]단인 단어 みる(보다) おきる(일어나다) おちる(떨어지다) 10:23

3) 下一단 동사 어미가 [る]로 끝나는 동사로, 어미 바로 앞의 어간이 [e]단인 단어 たべる(먹다) ねる(자다) こたえる(대답하다) 4)か행 변격동사 : 來る ( 오다 ) 5)さ행 변격동사 : する ( ~하다 ) 10:24

◐ 5단 동사의 활용 ◑ 1) 미연형 : 어간 + [a]단 + ない <부정형이라고도 함> かく: か+か+ない=かかない(쓰지 않는다) よむ: よ+ま+ない=よまない(읽지 않는다) 2) 연용형 : 어간 + [i]단 + ます <ます형이라고도 함> かく: か+き+ます=かきます(씁니다) よむ: よ+み+ます=よみます(읽습니다) 10:24

3) 종지형: 활용을 하지 않는다. <기본형이라고도 함> かく(쓰다) よむ(읽다) 4) 연체형: 종지형 + 체언(명사) かく:かく+ひと=かくひと(쓰는 사람) よむ:よむ+ひと=よむひと(읽는 사람) 5) 가정형 : 어간 + [e]단 +ば かく:か+け+ば=かけば(쓴다면) よむ:よ+め+ば=よめば(읽는다면) 6) 명령형 : 어간 +[e]단 かく:か+け=かけ(써라) よむ:よ+め=よめ(읽어라) 10:24

7) 의지 권유형 : 어간 + [o]단 + う かく:か+こ+う=かこう(쓸 것이다. 쓰자) よむ:よ+も+う=よもう(읽을 것이다. 읽자) ◐ 上一단, 下一단 동사 활용 ◑ 例) 上一단 동사: みる(보다) 下一단 동사:たべる(먹다) 1) 미연형 : 어간+ない <부정형이라고도 함> みる:み+ない=みない(보지 않는다) たべる:たべ+ない=たべない(먹지 않는다) 10:24

2) 연용형 : 어간+ます <ます형이라고도 함> みる:み+ます=みます(봅니다) たべる:たべ+ます=たべます(먹습니다) 3) 종지형:활용을 하지 않는다 <기본형이라고도 함> みる(보다) たべる(먹다) 4) 연체형 : 종지형+체언(명사) みる+ひと=みるひと(보는 사람) たべる+ひと=たべるひと(먹는 사람) 10:24

5) 가정형: 어간+れば みる:み+れば=みれば(본다면) たべる:たべ+れば=たべれば(먹는다면) 6) 명령형 : 어간+ろ(よ) みる: みろ みよ(보아라) たべる:たべろ たべよ(먹어라) 7) 의지 권유형: 어간+よう みる:み+よう=みよう(보겠다, 보자) たべる:たべ+よう=たべよう(먹겠다, 먹자) ◐ か행, さ행 변격동사 활용 ◑ か행 변격동사 : 來る ( 오다 ) さ행 변격동사 : する ( ~하다 ) 10:24

か행 변격동사 1) 미연형 來ない 오지 않는다 2) 연용형 來ます 옵니다 3) 종지형 來る 온다 4) 연체형 來る ひと 오는 사람 5) 가정형 來れば 온다면 6) 명령형 來い 오너라 7) 의지 권유형 來よう 올 것이다 10:25

さ행 변격동사 しない 하지 않는다 します 합니다 する 한다 する ひと 하는 사람 すれば 한다면 しろ、せよ 해라 しよう 하자, 할 것이다 10:25

이런식으로 동사는 변형합니다 근데 지금은 1하단동사 상당동사 이렇게 안하고 1류동사2류동사3류동사 이런식으로 말을합니다 10:26

그러고 さしむける 보내다/파견하다 라는뜻입니다 타동사는 뭐야면 조사 を를 붙어 동작을 나타내는것입니다 あける 열다 라는뜻인데 여기에 ~を あけて います 을 열고있습니다(진행) 을 나타낸니다 が あけて あります 가 열려져있습니다(상태) 나타냅나다 이의 끝을낸걸 나타내지요 도움되시길 10:34

출처 : 곰돌이도 하는 일본어